728x90
반응형
어느덧 5월이 성큼 다가왔습니다.
이 시기마다 빠지지 않고 회자되는 주제가 있죠.
바로 종합소득세 신고입니다.
처음 듣는 분들은 “나는 해당 없을 텐데?” 하실 수 있고,
이미 한 번 해봤지만 헷갈리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.
특히 프리랜서나 부업 수입이 있는 분들은
신고 대상인지,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실 수 있죠.
그래서 오늘은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
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📌 신고 대상은 누구일까요?
- 프리랜서, 작가, 강사처럼 사업자 등록 없이 수입이 있는 분들
- 개인사업자, 임대소득자, 이자·배당소득자도 포함돼요.
(소득이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신고 의무가 생깁니다)
📅 신고 기간은 언제인가요?
-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납부 기한도 동일하며, 마감일이 공휴일일 경우 다음 평일까지 자동 연장돼요.
🖥 홈택스로 신고하는 절차
- 홈택스(국세청 홈페이지)에 접속해 로그인
- [종합소득세 신고] → [정기신고] → [신고서 작성]
- 연도는 2024년 귀속으로 설정
- 국세청이 제공하는 ‘사전 채움 자료’ 확인
- 소득/경비/공제 항목 꼼꼼히 입력
- 예상 납부세액 확인 후 제출
- 납부는 즉시 또는 나중에 가능 (카카오페이 등도 OK)
모바일 앱 ‘손택스’를 활용하면 더 간편하게 끝낼 수 있어요!
(단, 간편 신고 대상자일 경우에만 가능)
🧾 프리랜서라면 특히 주의할 점
- 업무에 사용된 비용은 경비로 인정돼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.
(예: 노트북, 교통비, 인터넷 요금 등) - 보험료, 기부금 같은 세액공제 항목도 꼭 챙기시고요.
⚠️ 신고 안 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?
- 신고하지 않으면 **무신고 가산세(최대 20~40%)**가 붙고
- 납부 지연 시에는 **하루 단위 이자(납부불성실 가산세)**가 더해져요
- 심한 경우에는 신용불이익, 체납 공개, 출국 제한 등의 불이익도 생길 수 있어요
- 또한 한 번 누락되면 향후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
✅ 마무리 한 마디
처음이라도 괜찮아요.
홈택스 안내에 따라 천천히 진행하면
충분히 혼자서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.
미루지 말고 이번 5월 안에 꼭 마무리해보세요 :)
앞으로를 위한 소중한 경험이 될 거예요.
반응형